-
의사결정 역량이 왜 필요한가? 의사결정의 본질공부하자 2022. 12. 5. 13:38728x90반응형
"의사결정의 종합예술이다"
Peter F. Drucker
의사결정(Decision Making)의 정의
가장 적합한 대안을 선택하는 일련의 과정이라고 볼 수 있는데, 단순한 선택과는 거리가 있다.
정보처리 관점
정보와 반응 사이의 다대 일 대응.
즉, 많은 정보를 지각하고 평가하여 하나의 선택을 하는 것.
심리학적 관점
개별적 선택들이 어떤 개인의 필요, 선호에 의해 가치를 갖는 상황 안에서 내려지는 행위.
대부분의 의사결정 문제는 불확실성을 포함하고 있다.
가능한 많은 정보를 확보하여 미지 정보의 영역을 우선적으로 감수하려는 노력을 하고
최종 단계에서 개인의 통찰력이나 직관적 판단에 의해서 의사결정을 하게 된다.
그러나 직관에 의한 의사결정은 인간의 인지능력의 한계와
여러 가지 편향으로 인해서 잘못된 결과로 이어질 개연성이 매우 높다.
1. 상황의 불확실성
확실성 下의 의사결정
선택의 결과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경우
불확실성 下의 의사결정
선택의 결과 예측을 할 수 없는 경우 위험 下의 의사결정
선택의 결과를 예측 가능하지만 정확하지 않은 경우
2. 의결자 수
개인 의사결정
개인의 위험 성형과 선호 함수 등의 영향을 받으며 결과가 개인에게 귀속
복수 의사결정
상이한 이해관계를 가진 다수가 과정에 참여하는 경우
> 이익이 서로 충돌함
> 당사자 간의 갈등 조정이 핵심
3. 평가 기준 단일기준 의사결정
평가 항목이 1개 이고, 이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경우
다기준 의사결정
다양한 평가 기준(가격, 품질, 서비스)이 존재하여 측정 기준과 가중치 등 복잡하고 다양한 고려 요소를 수반하는 경우
4. 반복성 일회적 의사결정
1회성, Spot성 event로 인해 해당 문제와 관련한 변수만 독립적으로 고려하게 되는 경우
반복적 의사결정
전에 이루어진 의사 결정이 이후에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의사 결정과 상호작용함으로서 직, 간접적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경우
5. 구조화 여부
제한적 합리성이론 (Bounded Rationality)
하버트 사이먼 교수 정형적 의사결정
문제의 구조가 명확하여 대안을 탐구할 필요 없이 틀에 박힌 절차와 방법에 따라 일상의 반복적 문제를 기계적으로 결정
ex. 직책에 따른 월급
> 주로 하위 관리자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결정
비정형적 의사결정
새롭고 구조적으로 짜여있지 않거나 불투명한 요인들을 내포하고 있는 상황에서 요구되는 의사 결정
ex. 조직의 목표와 전략수립 및 자원 할당
> 리더들에 의해 수행, 장기적/거시적 관점 필요728x90반응형'공부하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CMS/LMS/LXP/정의와 차이점, 학습자 경험 플랫폼 (0) 2023.06.13 4차 산업혁명의 개념과 본질, 10가지의 기술 요소에 대해 (0) 2023.04.11 블록체인이란, 블록체인의 기술특징에 대해 알아봅시다 (0) 2022.04.04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차이, 연역법과 귀납법 예시 (0) 2022.02.13 토론을 보고, 몰랐던 상식 정리 (0) 2022.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