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차이, 연역법과 귀납법 예시공부하자 2022. 2. 13. 17:45728x90반응형
구분 양적 조사 (현실적 접근) 질적 조사 (해석적 접근) 특성 연역적 추론 귀납적 추론 구체적인 이론적 배경을 갖고 시작 별다른 이론적 배경 없이 시작 가능 설명적 성격이 강함 탐색적 성격이 강함 융통성이 적음 (연구 설계 및 변수가 조사 전에 확정되야함) 방법과 연구 설계에 융통성이 많음 실험 처치를 동반 (비교적 구조화된 환경에서 실시) 자연스러운 실제 환경에서 주로 실시 규모가 큰 표본에서 주로 실시 작은 표본 및 대상자에게도 적용 가능 목적 가설 검증, 보편적 법칙 발견 관계의 의미 해석에 중점 자료 수집 개입, 실험, 구조화된 설문지 등 현지 조사나(참여) 관찰, 심층 면접 등 조사 유형 설문조사 연구, 실험조사 연구, 단일 사례 연구, 욕구 조사, 프로그램 평가조사 등 현상학, 사례연구, 생애사, 문화 기술지, 근거 이론 연구 등 장점 - 일반화할 수 있는 결과 산출
- 저비용으로 쉽게 시작- 풍부하고 자세한 발견 가능
- 문제에 대한 새로운 시각(통찰력) 제공
- 조사 설계나 자료 수집에 융통적단점 - 조사 결과가 풍부하지 못한 경향
- 모든 결과를 계량화하려는 시도
(조작적으로 정의할 수 있거나 측정 가능한 자료만 보려고 하기 때문에 조사 결과가 제한적이고 피상적이기 쉬움)- 주관적이라는 인상을 주기 쉬움
- 조사결과를 일반하기 어려움출처 :Royse, 2004 :237 과 황성동, 2009 :224 에서 수정 인용
양적 조사는 연역적 추론으로 설명적 성격이 강하며, 가설 검증과 보편적 법칙 발견에 목적을 둔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 수집이 되며, 장점으로는 일반화할 수 있는 결과 산출과 저비용으로 쉽게 시작할 수 있다.
단점은 조사 결과가 풍부하지 못하고, 모든 결과를 계량화하여 제한적이고 피상적이기 쉽다는 점이다.
질적 조사는 귀납적 추론으로 탐색적 성격이 강하며, 관계의 의미 해석에 중점을 둔다.
현지 조사나 관찰, 심층 면접을 통해 이루어지고, 장점으로는 풍부하고 자세한 발견이 가능하며 문제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다.
단점은 주관적이라는 인상을 주기 쉬우며, 조사 결과를 일반하기 어렵다.
연역법과 귀납법의 차이
연역법은 전제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결론을 도출하는 추리 방법.
일반적인 원리나 사실을 전제로 하여 개별적이거나 특수한 사실을 결론으로 이끌어내는 방법이다.
연역법은 전제에 결론이 나와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연역법 예시)
대전제(일반적인 원리) : 모든 동물은 죽는다.
소전제 (구체적 사실) : 사람은 동물이다.
추론 (구체적인 원리) : 그러므로 사람은 죽는다.
귀납법은 특수하거나 개별적인 사실이나 현상으로부터 일반적인 결론을 이끌어내는 추리 방법.
프랜시스 베이컨이 창안한 추론 방법으로 경험적인 현상으로부터 원리를 생각해내고 진실/거짓을 판단하는 방법이다.
전제가 참일지라도 그 결론이 반드시 참이라는 보장이 없다는 것이 특징이다.
귀납법 예시)
구체적인 사실 : 사람은 죽는다.
구체적인 사실 : 소도 죽는다.
구체적인 사실 : 돼지도 죽는다.
구체적인 사실 : 개도 죽는다.
소전제 : 사람, 소, 돼지, 개는 동물이다.
추론 (일반적인 원리) : 그러므로 모든 동물은 죽는다.
연역법과 귀납번은 상호 보완적 관계이다. 연역법에 의한 이론이 관찰에 의해 증명되는지를 확인할 때는 귀납법을 사용한다.
728x90반응형'공부하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사결정 역량이 왜 필요한가? 의사결정의 본질 (0) 2022.12.05 블록체인이란, 블록체인의 기술특징에 대해 알아봅시다 (0) 2022.04.04 토론을 보고, 몰랐던 상식 정리 (0) 2022.02.07 개인정보 마스킹처리, 보호조치 (Feat.적용가이드) (0) 2022.01.26 문제 해결 방법론, 과업 정의 (0) 2022.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