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모바일 앱의 종류 정리(네이티브 앱, 하이브리드 앱, 모바일 웹, PWA)
    공부하자 2022. 1. 12. 14:43
    728x90
    반응형

    네이티브 앱 (Native App)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앱이다. 각각 안드로이드와 iOS 전용 가이드와 프레임에 맞춰 개발된 소프트웨어이다.
    iOS라면 예전에는 Objective-C, 요즘에는 Swift 언어로 개발되며, 안드로이드의 경우 Java나 Kotlin으로 사용된다.

    장점 : 전용 환경에서 개발되었기 때문에 각 주어지는 모든 기능과 자원을 탑재할 수 있으며, 구글과 애프렝 검증되어 쉽게 스토어에서 찾을 수 있다.
    단점 : 안드로이드 개발자, iOS 개발자를 따로 두어야하며, 새로 만들거나 업데이트할 때의 검수 기간이 길다.

    모바일 웹 (Mobile Web)
    스마트폰, 태블릿 등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접속하는 형태이다.
    장점 : 개발하고 운영하기가 수월하다.
    단점 : 모바일 웹으로는 할 수 있는 것들이 제한되어 기능과 성능이 떨어진다.

    하이브리드 앱 (Hybrid App)
    네이티브로 만들되, 그 앱에 브라우저 창을 띄워서 일부 또는 대부분의 기능을 웹 형태로 제공한다.
    장점 : 웬만한 기능은 웹뷰를 통하고(콘텐츠 등), 구현할 수 없는 기능은 네이티브 레벨에서 처리한다. 예시) 네이버

    크로스 플랫폼 앱 (Cross-Platform App)
    React, Flutter, Xamarin 등 하나의 언어, 한 번의 개발로 iOS와 안드로이드 모두에서 동작하는 네이티브 앱이다.
    각각에서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변환이되어 돌아가는 구조이다.

    PWA (Progressive Web Application)
    개발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한 앱을 만들기 위한 또 하나의 접근 방법론이다.
    모바일 웹의 한계를 브라우저 발전을 통해 한 단계 더 끌어올린 것이다.
    예시로 홈 화면에 추가 시 하이브리드 앱처럼 작동하는 것. 브라우저 기능들이 개발되고, 발달되고 있다.
    스토어에서 다운로드 받는것보다 웹을 통해 접근하는 사용자가 많기 때문에 유입률이 높다.

     

    참고 링크 : https://youtu.be/NMdnzvPsGu8

    728x90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대두.